🌐 ziinsun

      • Gradle
      • Server
      • Spring MVC
      • TCP IP 4계층 모델
      • 네트워크 기기
      • 네트워크 기초
      • 디자인 패턴
      • 프로그래밍 패러다임
      • 241104 - DB
      • 241106 - DB
      • 241108 - DB
      • 241115 - Java
      • 241118 - Java
      • 241120 - Java
      • 241122 - Java
      • 241125 - Spring
      • 241129 - Spring
      • 241202 - Spring
      • 241204 - 네트워크
      • 241206 - 네트워크
      • 241209 - OOP
      • 241211 - OOP
      • 241216 - 백엔드 프레임워크
      • 241218 - 백엔드 프레임워크
      • 250103 - DB
      • 250106 - DB
      • 250108 - API 설계 및 통신
      • 250113 - 성능 최적화 및 캐싱
      • 250115 - 성능 최적화 및 캐싱
      • 250117 - 보안 및 인증
      • 250122 -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
      • 250203 - 테스트 및 디버깅
      • 250210 - 배포 및 운영
      • 250212 - 배포 및 운영
      • 250217 - 분산 시스템 및 클라우드
      • 250223 - 네트워크
      • 01 MSA 개요
      • 02 Spring Cloud
      • 03 서비스 디스커버리 (Eureka)
      • 04 클라이언트 사이드 로드밸런싱 (FeignClient와 Ribbon)
      • 05 서킷 브레이커(Resilience4j)
      • [AWS] EC2, Docker, Termius로 배포하기
      • [DevOcean] Docker를 활용한 효율적 개발 및 보안전략
      • [JPA] Entity
      • [Redis] 캐싱 전략
      • @SQLDelete
      • AOP (Aspect Oriented Programming)
      • Call by value & Call by Reference
      • crypto hash, salt 암호화
      • DDD(Domain Driven Design)
      • Docker
      • GitLab을 이용해서 AWS에 배포하기
      • Java 배열 비교에서 equals가 안 되는 이유
      • Java8 람다식 (lambda expression)
      • Kafka
      • Mockito
      • Next.js 국제화 (with next-intl)
      • Priority Queue
      • QueryDsl
      • RabbitMQ & Kafka
      • Redis
      • Redis Sorted Set
      • ServerWebExchange
      • Spring Pageable
      • Stack, Queue, Deque
      • 단위 테스트
      • 보안을 하자...(1) - Nginx rate limit
      •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방법
      • 클린 아키텍쳐
      • 테스트 코드
        • 1.3 네트워크 코어
        • 2.3 인터넷 전자메일 (p106-112)
        • 2.4 DNS 인터넷 디렉터리 서비스 (p112-125)
        • 3.4.1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구축
        • 3.4.2 파이프라이닝된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
        • 3.5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TCP
        • 3.8 트랜스포트 계층 기능의 발전
        • 4.1 네트워크 계층 개요
        • 6.3.3 순번 프로토콜
        • 7.5 이동성 관리 원칙
        • Gateway
        • Hibernate
        • JPA의 ddl-auto 옵션은 각각 어떤 동작을 하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할까요
        • JPA의 N + 1 문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
        • primitive
        • Spring Data JPA에서 새로운 Entity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
        • SSLTLS
        •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
        •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
        • 엔티티 매니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
        • 영속성 컨텍스트
        • 일급 컬렉션이 무엇인가요?
        • 자바에서 Checked Exception과 Unchecked Exception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
        • 트랜잭션 격리수준은 무엇인가요
        • 01 오브젝트와 의존관계
        • 02 테스트
        • 03 템플릿
        • 04 예외
        • 05 서비스 추상화
        • 08 스프링이란 무엇인가?
        • 01 운영체제의 시작과 발전
        • 02 컴퓨터 시스템과 운영체제
        • 03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관리
        • 04 스레드와 멀티스레딩
        • 05 CPU 스케줄링
        • 06 스레드 동기화
        • 07 교착상태
        • 08 메모리 관리
        • 09 페이징 메모리 관리
        • 10 가상 메모리
        • 11 파일 시스템 관리
      • Vault
    Home

    ❯

    tags

    ❯

    Tag: 분산시스템

    Tag: 분산시스템

    1 item with this tag.

    • Feb 17, 2025

      250217 - 분산 시스템 및 클라우드

      • 분산시스템
      • 오토스케일링
      • 로드밸런싱
      • 쿠버네티스
      • MSA

    Created with Quartz v4.4.0 © 2025

    • Discord Community